철구조물

철구조물
STEEL STRUCTURAL CONSTRUCTION
현대사회 건축물의 핵심구조는 철 구조물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. 초고층 건축물을 짓기 위해선 철골구조가 기타구조에 비하여 매우 우수하다. 현대 건축에 있어서 모든 분야에 철구조물이 적용된다고 볼 수 있다. 특히 공장,상가,빌딩 등엔 장대스판이 많으므로 90% 이상이 철 구조물을 사용한다.
01철구조물의 특징
라인 요즘사회에는 대부분 H-BEAM으로 철구조물을 제작한다. H-BEAM은 단면의 성능이 우수하고 접합이 용이하여 구조용강재로 널리쓰이고 있다.
철구조물은 공장에서 제작을 하므로 제품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으며 안전성에도 뛰어나다. 완성된 골조를 현장으로 운반하여 바로 조립설치를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.
철골재료는 불연재료이지만 내화구조는 아니다. 따라서 화재로 인하여 고온에서는 강도가 내려가 자중에 의해서 변형되기 때문에 내화피복을 해야 한다.
또한 공기 중 자연산화를 막기 위해 방청도장은 필히 하여야 한다.02철강재의 종류
- 판재류 - 냉.열간 압연강판, 아연도 강판, 무늬 강판
- 형강류 - H형강, 경량H형강, ㄱ형강, C형강, ㄷ형강, 레일, 데크플레이트
- 철근 - 이형철근, 원형강, 사각육각, 팔각강
- 강 관 - 배관용 강관, 아연도 강관, 압력 배관용 강관, 구조용 강관, 구조용 각형 강관
03철구조물의 적용 예
공장, 제조장, 물류창고, 축사, 빌딩, 상가, 주택, 교회, 교량, 조형물, 케노피, 특수구조물
04철구조물 제작요령
- 도면, 제작장(공장), 인원(기능인), 작업공구(장비등), 원자재(형강류)
- 1. 도면을 충분히 숙지한 후, 제작도를 그린다.
- 2. 현도를 내어서 철판과 형강류에 마킹을 하여 절단하고 가공한다.
- 3. 가공된 자재가 준비가 되면 제작도에 맞게 취부하고 용접을 한다.
- 4. 제작이 완료되면 정확한 치수를 검사한다.
- 5. 검사 후 이상이 없으면 구조물에 이물질을 제거하고 방청도장을 한다.
- 6. 충분히 건조 시킨 후 지정색(상도)으로 마무리한다.
05철구조물의 설치요령
- 도면, 제작장(공장), 인원(기능인), 작업공구(장비등), 원자재(형강류)
- 1. 현장 여건과 공정 등을 검토한 후 원자재를 현장에 투입한다.
- 2. 현장조건을 세밀히 파악한 후에 장비를 결정한다.
- 3. 베이스 및 앙카볼트 상태 등을 점검하고 전체적인 수평작업을 한다.
- 4. 기둥 → 보 순서로 조립하고 데크플레이트를 설치하고 마무리 작업을 한다.
- 5. 도면과 비교하여 완전한 시공이 되었으면 현장책임자의 검사 후 승인을 받는다.